11월 1일 현재 정부에서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고자 '청년도약계좌' 상품을 출시했습니다. 올해 초 인기가 많았던 청년희망적금을 폐지하고 확대 개편하고자 하려는 취지로, 기존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도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방안을 논의중이라 밝혔습니다. 혜택이 좋아 2030청년층에서 인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데, 지금부터 찬찬히 포스팅하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란?
납부금액 : 매달 40~ 70만원
납부기간 : 5년만기
월 최대 70만원을 5년간 납입했을 때, 총 5천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적금 상품입니다.
원금 4,200만원 + 이자 800만원 = 5,000만원
정부가 3~6%를 지원해주고(6% 지원시 40만원) 은행이자도 추가로 적용되는데 현재 금리를 고려했을 때 6~7%까지 적용되지 않을까 예상됩니다. 이 때 발생한 이자소득은 비과세 혜택을 준다고 합니다.
생애최초 주택구입, 장기휴직, 재해 등의 사유가 있으면 중도 인출 가능, 이후 재가입도 허용됩니다.
연 소득 2,400만원 이하
납입한도 월 30만원, 정부 지원금 40만원
연 소득 ,2400만~3,600만원
납입한도 월 50만원, 정부 지원금 20만원
연 소득 3,600만~4,800만원
납입한도 60만원, 정부지원금 월 10만원
연 소득 4,800만원 초과
정부지원금 없음. 비과세 및 소득 공제 혜택만 제공
신청 대상
만 19세~34세의 청년
* 병역 이행 기간은 계산하지 않음. (최대 6년)
개인 소득 연 6000만원 이하
가구 소득 중위 180% 이하
공무원도 가입 가능할까?
현재까지 발표된 바로는 위의 조건만 해당된다면 공무원도 가능합니다.
청년희망적금과 청년도약계좌 비교
청년희망적금 | 청년도약계좌 | |
연령 | 만 19세~34세 | |
소득 요건 | 개인 소득 3600만원 이하 | 개인 소득 연 6000만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 180% 이하 |
납입금액, 만기 | 매월 50만원 한도내에서 2년만기 | 매달 40~ 70만원, 5년 만기 |
혜택 | 정부가 2~4% 지원, 은행이자 5%. 총 10% 금리인 셈 |
정부가 3~6% 지원(최대 6% 지원시 40만원) 은행이자도 추가 적용 |
비과세 | 이자소득세 면제 | 이자 소득 비과세 |
신청기간
아직 출시되지 않은 상품으로 내년 6월쯤 출시 예정이라 합니다. 좀 더 구체적인 계획이 발표되면 나오면 다시 포스팅하겠습니다.
앞으로의 전망
미국 중앙은행에서는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습니다. 오는 11월에도 한번 더 금리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, 요즘같이 이율 높은 상황에서는 만기가 짧은 상품을 다양하게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도 원래 공약에서는 10년 만기였지만 상황을 고려해 5년 만기로 줄었습니다. 이런 관점에서 봤을 때 소개드린 적금은 좋은 선택지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* 본 포스팅은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
'유용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경기일정, 조편성, 스코어, 선수단 총정리 (0) | 2022.11.27 |
---|---|
2022 여수 동동북축제 일시, 장소, 행사내용 총정리 (0) | 2022.11.21 |
피내지 않고 혈당 측정 가능, 체내 삽입형 혈당 측정기 개발 (0) | 2022.11.01 |
압사사고 정의, 사례, 예방 방법, 대처법 (0) | 2022.10.31 |
애플페이 관련주 7종목 (최신) (0) | 2022.09.17 |
댓글